비행기 교실
장거리 비행처럼 사람을 지치게 만드는 일도 드물 것이다. 북미대륙에서 고국과의 항로거리가 가장 짧은 출발 도시는 밴쿠버다. 밴쿠버에서 인천국제공항까지 걸리는 시간은 통상 이륙 후 11 시간 4 분이다. 밴쿠버로 돌아올 때 걸리는 시간은 약 두 시간이 짧다. 그러나 밤 비행기이기 때문에 피곤한 건 더하다.
항로는 흔히 생각하듯 태평양 망망대해를 가로질러 가는 게 아니다. 비행기는 무작정 바다 한가운데로 무식하게 날아가지 않는다. 가급적 해안선을 따라 이동한다. 신중하게 선택된 항로와 고도를 유지하며 아주 조심스럽게......
밴쿠버를 출발한 비행기는 캐나다 서부 해안선을 따라 알래스카 내륙까지 올라간 뒤 서쪽으로 방향을 틀어 육지(비상시 착륙할 수 있는 공항이나 공군기지)간 최단거리 코스를 찾아 북극해의 베링 해협을 건너간다.
날짜 변경선을 넘어 러시아 영내로 들어간 비행기는 사이베리아 상공을 한참 비행하다가 캄챠카 반도 부근에서 방향을 틀어 남진하기 시작한다. 사할린을 거쳐 일본 열도 서해안을 따라 내려오다가 울릉도 강릉 원주 상공을 지나 인천에 도착하게 된다.
나는 이날 졸지에 밴쿠버 국제공항에서 유명인사가 됐다. 느닷없이 나를 페이지하는 구내방송이 쩌렁쩌렁하게 울려퍼진 것이다. "대한항공 072 편으로 인천으로 출발하시는 강현 손님께서는 지금 곧 64 번 탑승구로 와 주시기 바랍니다"
머여? 이건 또......좀 황당한 기분으로 탑승구로 가 보니 누군가에게 전화가 와 있었다. 에드먼턴-밴쿠버 비행기 탈 때 셀을 꺼놓고 다시 켜는 걸 깜빡한 사이 이런 일이 벌어진 것이다.
고국을 방문하는 북미교포들이라면 이 지겨운 장거리 비행의 피로를 조금이라도 모면하기 위해 상위클래스를 이용해 보고 싶다는 바람을 가져보지 않은 사람은 없을 것이다. 상위 클래스 티켓을 확보해 보려고 여러모로 해골을 굴리기 시작하지만 돈 들이지 않고 그 티켓을 확보한다는 게 쉬운 일이 아니다.
일반석 할인요금보다 무려 세 배에서 여덟 배가 비싼 요금을 자기 돈으로 지불하고 상위클래스를 타는 사람들은 그렇게 많지 않을 것 같다. 공무출장 같은 것으로 누가 대신 항공권을 사 준 경우 아니면, 마일리지로 승급한 경우가 대부분일 것이다.
그거 아는가? 상위클래스 승객치고 제대로 자기 돈 내고 표를 산 사람은 별로 없다! 통장에 돈이 별로 없는 전두환을 위해 아시아나항공이 800 만 원 짜리 미국 왕복 일등석 표를 사 준 것도 한 예다.
일반적으로 북미노선의 경우 6 만 마일을 공제하면 일반석에서 비즈니스석으로 승급할 수 있다. 그런데 여기에는 까다로운 조건이 따라붙는다. 우선 당신이 가지고 있는 일반석 티켓이 어떤 등급인지를 알아 볼 필요가 있다.
일반석이라고 다 같은 일반석이 아니다. 일반석 티켓에는 Y, B, H, L, N, Q, V, X, G, S-SEE3M 등 열 가지 등급이 있다. 마일리지를 공제하고 차상위 클래스로 올라갈 수 있는 일반석 등급은 Y 클래스뿐이다. 몰랐지?
서울에 내려 하룻밤 자는 둥 마는 둥하고 다음 날 아침 다시 방콕으로 날아갔다. 중간 기착지인 홍콩 첵랍콕 국제공항에서 내려서 여기 저기 기웃거리는데 이런 것이 눈에 띠었다. 홍콩에서 캐나다 토론토로 가는 비행기 탑승구 안내문이다. 직항으로 약 16 시간 정도를 날아가야 하는 머나먼 거리다. 갑자기 마음이 짠 해진다. 불쌍한 승객들......
만일 당신이 사용기간이나 출발일 변경 등에 제약 조건이 따라붙어 있는 할인 티켓을 가지고 있다면 마일리지 공제 외에도 수 백 불 이상의 차액을 별도로 지불해야 차상위 클래스로의 승급이 가능하다. 그것도 우선순위인 Y 클래스의 승급희망자가 모두 승급하고 좌석이 남아 있어야 당신 차례가 돌아온다. 게다가 승급희망자가 줄을 서 있고 쟁쟁한 마일리지 고수 역시 많기로 유명한 북미노선에서 할인티켓을 가지고 승급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런데 왜!......다른 교통수단에서는 별로 부각되지 않는 일반석과 상위 클래스의 차이가 왜 유독 비행기에서는 크게 드러나고 승객들은 좀 무리를 해서라도 상위 클래스를 타고 가려고 애를 쓰는 걸까?
비즈니스 클라스 Cocoon Seat. 캐나다 교포들 이런 좌석에 앉아 한국가고 싶다고? 5 천 불 내!
내가 보기에 비행기처럼 중세기적 신분제도가 철저하게 유지되고 있는 곳도 드물다.
우선 비즈니스 클래스와 퍼스트 클래스 승객들은 수속과 탑승과정에서 줄을 설 일이 별로 없다. 그들은 수속도 별도로 하고 탑승진행순서에도 구애 받지 않는다. 그들은 열외다. 아무 때나 탑승했다가 내릴 때는 가장 먼저 내린다. 그들만의 전용 카운터와 전용 보딩브리지가 따로 준비되어 있기 때문이다.
상위 클래스의 탑승객들은 대개 출발 직전까지 항공사별로 공항에 따로 마련된 전용 라운지에 죽치고 앉아 시간을 보내다가 출발 시간이 임박해서야 하나 둘 씩 탑승구에 나타나기 시작한다. 라운지에는 인터넷, 마사지, 샤워시설은 물론이고 뷔페와 수면실까지 마련돼 있다. 물론 몽땅 무료다.
대한항공의 일등석 코즈모 슬리퍼. 이 사진은 내가 찍은 게 아니라 대한항공에서 가져왔다. 이 좌석의 북미노선 왕복은 만 불이 넘는다.
뭐셔? 비행기 표가 만 불? 지금 장난하냐. 천만에......요새는 한 술 더 떠 칸막이까지 설치된 일등석 스위트가 등장했다. 얼마냐고? ...... 웬만한 자동차 한 대 값이다.
역시 상위 클래스의 가장 매력적인 포인트는 드넓은 좌석이다.
현재 밴쿠버 인천구간은 대한항공과 에어캐나다 모두 신기재 장착 항공기를 운용한다. 신기재 장착 항공기란 전 좌석에 AVOD 시스템이 장착돼 있고, 일등석은 코즈모 슬리퍼 타입을, 비즈니스 석은 Cocoon Seat를 장착한 항공기를 말한다.
나는 잘난 척하거나 내 자랑하는 것을 절대 싫어하지만 정보제공하는 것은 사랑하니까 하는 말인데...... 2007 년과 2008 년 내가 각각 두 비행기 회사를 까는 글을 차례로 올리고 나서 두 항공사가 기종을 역시 차례로 바꾸었으니까 캐나다 사는 동문들은 나에게 감사하도록...... 오비이락인지 뭔지 모르지만 말하자면 그렇다는 말이다......
Cocoon Seat 란 모든 좌석이 번데기 안에 들어있는 애벌레처럼 독립적인 공간을 가지고 있다는 의미다. Cocoon Seat 의 장점은 앞 좌석과 뒷좌석의 구애를 받을 필요가 전혀 없다는 것이다.
옆 사람이 보기 싫다면 스크린을 꺼내 가리면 된다. 좌석은 170 도까지 펼쳐진다. 이 정도라면 침대나 다름없다. 침대에 디비져 누워서 푹신한 이불(담요가 아니다)을 뒤집어 쓰고 22 인치 모니터로 영화를 보거나 게임을 하면서 가던지 한 숨 푹 자던지 하면 목적지에 도착한다.
타이항공 인천 방콕 노선 비즈니스석의 전채요리는 참깨를 둘러 싼 알래스카 산 스모크 새먼. 네 가지 중 하나를 고르는 메인요리 중 내가 선택한 것은 양고기 스테이크. 그런데 강현 님은 얼마내고 비즈니스 탔냐고? 딱 32 불 내고 방콕 찍고 치앙마이까지 왕복했다. 잘했지?
두 번째 매력 포인트는 기내식이다. 일반석의 기내식은 보통 두 가지 중에 하나를 고르도록 되어 있지만 상위 클래스에서는 비행기가 이륙하기도 전에 메뉴판이 제공되고 승무원들이 주문을 받기 시작한다.
식사시간이 되면 에이프런이 제공됨과 동시에 식탁보가 깔리고 전채요리 메인요리 디저트 순으로 서브가 진행된다. 도자기와 크리스탈 잔 등 제대로 구색을 갖춘 식기가 사용된다.
일반석의 경우 아침식사 시간이 되면 일제히 기내의 불이 켜지며 승객들의 기상을 유도한다. 그러나 비즈니스 클래스에서는 소등상태에서 승무원들이 돌아다니며 조심스럽게 승객들에게 아침식사 여부를 타진한다.
방콕에서 인천으로 가는 타이항공 656 편에서는 불과 20 명 정도가 탑승하고 있는 비즈니스 클래스에 무려 네 명의 전용 승무원이 쉴새 없이 돌아다니며 승객들을 살피고 있었다.
태국 치앙마이 국제공항의 국제선 출발 대합실. 공항이라기 보다는 시외버스 터미널 같은 분위기다.
그러나 조심하기 바란다. 한 번 상위클래스를 이용해 본 다음부터는 일반석으로 여행하기가 더 어려워진다. 해외여행의 소중한 기쁨을 잃어버릴지도 모른다. 매번 태평양을 건너 갈 때마다 비행기 티켓 값으로 5 천 불 가량을 지불할 요량이 아니라면 이 마약과 같은 승급 기회를 함부로 남용해서는 안되겠다는 생각이 든다.
아침식사시간. 우리 비행기가 드디어 대한민국 영공에 진입했다는 안내방송이 나오고 있다. 지금 제주도 상공을 날고 있단다. 끝없이 펼쳐진 운평선 위로 아침해가 떠 오르고 있다.
상위클래스를 바라기 보다는 상위클래스 부럽지 않은 일반석 좌석 찾는 방법을 공부하는 것이 현명할 것이다.
www.seatguru.com 에 들어가 직접 좌석을 분석하고 고르는 방법도 있고, 만석이 아니라면 옆자리가 비어있는 좌석을 확보하는 노력을 해 보는 것도 좋다. 옆자리가 비게 될 확률이 가장 높은 좌석은 중간열의 복도 쪽 좌석이다. 나의 경우 이런 노력이 실패한 경험이 별로 없다.
아니면 좀 일찍 공항에 도착해 카운터에서 이렇게 이야기 해보자.
“나는 영어와 한국어 2 개 국어에 능통하고 CPR과 First Aid 도 할 줄 알며 비상시에는 승객뿐 아니라 기장님을 제외한 승무원 전원을 먼저 대피시킨 후 내가 탈출할 각오가 되어 있으니 비상구 복도 쪽 좌석을 부탁합니다”
그러면 카운터 직원은 미소를 지으며 비상구 복도 쪽 좌석을 줄지도 모른다. 비상구 복도 쪽 좌석은 일반석 중 유일하게 두 다리를 쭉 뻗고 지낼 수 있는 자리다. 맞은 편에는 승무원용 점프시트가 있으므로 만일 당신이 싱글이라면 멋진 새 인연을 만들 수도 있겠다.
이민살이를 하면 장거리 비행기타기는 싫어도 숙명이다. 피할 수 없다면 차라리 즐기자.
기차교실
젠장, 기차 이야기가 더 중요한데 비행기 이야기만 하고 나갔다가 다시 들어와서 기차 이야기 첨부한다. 제목도 바꿨다. 이제는 노망이 나려는지 가끔 오락가락 할 때가 있다-_-
KR Pass란 한국에서 외국인과 외국 영주 교민들만 사용할 수 있는 기차표인데 (미국의 암트랙과 개념이 비슷한) 한국 국내에서는 구입할 수 없고 반드시 입국 5 일전까지 Korail Web 이나 해외 여행사 등을 통해 구입해야 한다.
3 일권 5 일권 7 일권… 등이 있는데 이 기간 동안 KTX, 새마을호, 무궁화호를 무제한으로 타고 다닐 수 있다, 가격은 3 일권이 7 만 5900 원. 참고로 서울 부산 KTX 왕복요금은 일반실 기준으로 9 만 원이 넘는다. 한번만 사용해도 본전 뽑고 만 원짜리가 한 장 남는다는 야그다.
문제는 코레일 한글 사이트에 KR Pass에 대한 정보가 없다는 것이다. (어디다가 보물찾기처럼 몰래 숨겨 놓았는지는 모르지만 아무튼 못 찾았다.) 코레일 웹을 레이아웃한 피플들은 아마 외국인은 100 % 영어 사이트를 찾을 것 이라는 착각을 했던 모양이다. 이 패스의 이용자격이 있는 수 백 만 해외교포들이 한국 기차표를 온라인으로 사면서 영어 사이트에 들어갈 것이라고 생각했거나, 아니면 해외교민들 따위는 안중에 없었거나 둘 중의 하나란 야그겠지.
나도 코레일 한글 사이트에만 들락거릴 때는 몰랐는데 한국에 오기 열흘 전쯤 한글이 깔려있지 않은 회사컴퓨터를 이용해 korail 을 쳤더니 KR Pass에 대한 정보가 가장 먼저 떠서 이런 정보를 알 수 있었다.
아무튼 캐나다 돈 약 70 불 정도를 내고 제가 이용한 루트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날 서울-밀양 KTX 밀양-진영 무궁화호, 진영-밀양 무궁화호, 밀양-서울 KTX
둘째 날 용산-익산 KTX 익산-전주 무궁화호, 전주-익산 무궁화호, 익산-용산(장항선 경유) 새마을호
셋째 날 서울-부산 KTX 왕복
주말이나 연휴에는 KTX를 제외한 기차에 입석 손님들이 타는 경우가 많다. 내가 놀란 것은 새마을호에도 입석손님을 받는다는 것이다. 이게 번거롭다고 생각되면 특실을 타면 된다. 특실을 탈 경우 따로 낼 요금은 특실-일반실 잔액의 50 %. 아마 몇 천 원 정도 될 거다.
이용자격 조건은 이렇다. 반드시 외국 여권 소지자나 한국 PR 여권(영주권자용 거주여권) 소지자여야 하고 입국 5 일전까지 해외에서 결제한 뒤 받은 e-ticket을 가지고 전국 각 기차역에서 validation을 받으면 된다. Validation을 받을 땐 반드시 예약할 때 번호를 입력한 여권과 예약할 때 사용한 신용카드를 역 직원에게 제시해야 한다. 외국 국적 소유자라 하더라도 한국에 6 개월 이상 장기체류하고 있는 사람은 KR Pass를 사용할 수 없으니 명심할 것.
끝